-
Research Article
-
Study on a Predictive Model for Ground Vibrations Following Explosions in Underground Hydrogen Storage Facilities
지하 수소저장시설의 폭발에 따른 지반 진동치 예측 모델 연구
-
Hyun-Jun Choi, Hyung-Koo Yoon, Gyu-Hyun Go, YoungSeok Kim
최현준, 윤형구, 고규현, 김영석름
-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large-scale hydrogen storage facilities, hydrogen energy has emerged as a promising eco-friendly energy source. Underground hydrogen storage …
최근 수소 에너지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으며, 대규모 저장시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하 수소저장시설은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전성이 높으나, 폭발 발생 시 …
-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large-scale hydrogen storage facilities, hydrogen energy has emerged as a promising eco-friendly energy source. Underground hydrogen storage facilities offer enhanced safety against external shocks; however, research on the impact of explosions on the surrounding ground and structures remains limited. In this study,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thod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dynamic behavior of the ground following an explosion in an underground hydrogen storage facility. The Coupled Eulerian-Lagrangian (CEL) and Mohr-Coulomb models were applied to evaluate ground deformation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under explosion loads. Additionally, parametric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variations in hydrogen concentration, overburden thickness, and ground conditions, and a database (DB) of peak ground vibration values at different separation distances was established. To enhance prediction accuracy,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deep neural network (DNN)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ground vibrations. Data augmentation and outlier removal techniques were incorporated to optimize model performanc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creasing the data augmentation factor led to a reduction in training and validation loss, with the lowest test loss and mean squared error (MSE) observed in the dataset augmented by a factor of 100.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quantitative prediction of ground vibrations caused by underground hydrogen storage facility explosions.
- COLLAPSE
최근 수소 에너지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으며, 대규모 저장시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하 수소저장시설은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전성이 높으나, 폭발 발생 시 지반 및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FEA) 기법을 활용하여 지하 수소저장시설 폭발 시 지반의 동적 거동을 해석하고, Coupled Eulerian-Lagrangian(CEL) 및 Mohr-Coulomb 모델을 적용하여 폭발 하중에 따른 지반 변형과 진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소 농도, 토피고, 지반 조건 등의 매개변수 변화를 분석하고, 이격거리별 최대 진동치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였다. 인공지능(AI) 기반 심층 신경망(DNN) 모델을 개발하여 지반 진동을 예측하고, 데이터 증폭 및 이상치 제거 기법을 적용하여 모델 성능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증폭 배수가 증가할수록 학습 및 검증 손실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100배 증폭된 데이터셋에서 가장 낮은 테스트 손실과 평균제곱오차(MSE)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는 지하 수소저장시설 폭발로 인한 지반 진동을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Study on a Predictive Model for Ground Vibrations Following Explosions in Underground Hydrogen Storage Facilities
-
Research Article
-
Blast Resistance Evaluation of RC Column with Effect of Soil-Structure Interaction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폭발저항성능평가
-
Yeeun Kim, Nguyen Tran Gia Khiem, Jongmuk Won, Jiuk Shin
김예은, KhiemNguyen Tran Gia, 원종묵, 신지욱
-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 of Soil-Structure Interaction (SSI) on the blast response of reinforced concrete (RC) columns by …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RC) 기둥에 대한 폭발 하중 작용 시 지반-구조 상호작용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지반을 포함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개발하고, 지반 유무에 …
-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 of Soil-Structure Interaction (SSI) on the blast response of reinforced concrete (RC) columns by developing a finite element model that incorporates ground conditions. A Coupled LBE–ALE blast simulation method was applied to model external explosions, and the dynamic behavior of materials was considered using the K&C concrete model (MAT_072) and the PLASTIC_KINEMATIC rebar model (MAT_003) in LS-DYN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models with and without soil showed that the maximum lateral displacement increased by approximately 64.9 % when soil was included, and the ductility ratio also increased accordingly. Notably, the presence of soil altered the deformation pattern and energy transmission at the base and top of the column, indicating that the ground functions not as a passive support but as an active medium influencing wave propagation and dynamic amplific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including SSI in blast resistance evaluation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proposing soil correction factors and developing performance-based retrofit strategies for RC structures.
- COLLAPSE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RC) 기둥에 대한 폭발 하중 작용 시 지반-구조 상호작용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지반을 포함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개발하고, 지반 유무에 따른 구조 응답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폭발 하중은 Coupled LBE–ALE 기법을 통해 구현하였으며, 콘크리트와 철근 재료는 각각 K&C 모델(MAT_072)과 PLASTIC_KINEMATIC 모델(MAT_003)을 적용하여 동적 특성을 반영하였다. 해석 결과, 지반이 모델링된 경우 기둥의 횡방향 최대 변위는 약 64.9 % 증가하였으며, 연성도 또한 증가하여 구조 응답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반 존재 여부에 따라 기초 하부 및 기둥 상부의 변위 분포와 하중 전달 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지반이 단순한 지지 조건이 아닌 동적 하중 전달 및 반사 경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폭발 저항 성능 평가 시 지반-구조 상호작용 고려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향후 지반 특성에 따른 보정계수 제안 및 성능 기반 보강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Blast Resistance Evaluation of RC Column with Effect of Soil-Structure Interaction
-
Review Article
-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of Blast Loads and Current Guidelines for Blast Resistant Design of Industrial Facilities
산업 시설물의 내폭설계를 위한 폭발하중과 현행 가이드라인의 분석 및 적용안
-
Seung-Hoon Lee, Han-Soo Kim
이승훈, 김한수
- This study examines vapor cloud explosion as a key hazard in industrial facilities, reviewing explosion types and blast load estimation methods. Existing …
산업 시설물에서 주요하게 고려되는 증기운 폭발을 중심으로 다양한 폭발 유형 및 폭발하중 산정 방법을 고찰하고 기존의 내폭설계 가이드라인을 구조물 관점과 구획 관점으로 …
- This study examines vapor cloud explosion as a key hazard in industrial facilities, reviewing explosion types and blast load estimation methods. Existing blast resistant design guidelines are analyzed from structural and site perspectives to assess their scope and applicability. Based on prior research, performance-based blast resistant design concepts such as blast classification, performance objectives, design blast loads, and criteria are defined in a way that reflects domestic conditions. The results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blast-resistant design systems for industrial facilities and are expected to support future national design standards.
- COLLAPSE
산업 시설물에서 주요하게 고려되는 증기운 폭발을 중심으로 다양한 폭발 유형 및 폭발하중 산정 방법을 고찰하고 기존의 내폭설계 가이드라인을 구조물 관점과 구획 관점으로 분류하여 구성요소 및 적용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다양한 연구진이 제안한 성능기반 내폭설계에 대해서 산업 시설물에 적합한 내폭등급, 성능수준, 설계폭발하중의 정의 및 허용응답 기준을 국내 실정에 맞게 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 시설물의 구조 안전성 확보를 위한 내폭설계 체계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국내 설계기준 제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of Blast Loads and Current Guidelines for Blast Resistant Design of Industrial Facilities
-
Review Article
-
Fundamental Review Study on Protective Barrier Design for Enhancing Safety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s
수소충전소 안전성 향상을 위한 방호벽 설계: 기초 리뷰연구
-
Sangwoo Park, Jinho Ahn, 영문이름 Kim, Sangyoung Han
박상우, 안진호, 김Kukjoo, 한상영
- With the rapid expansion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s, safety concerns related to high-pressure vessel explosions have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However, current standards …
수소충전소의 보급 확대와 함께 고압용기 폭발로 인한 안전 문제가 부각되고 있으나, 현행 기준은 방호벽 설계에 대한 구체적 지침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방호벽의 …
- With the rapid expansion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s, safety concerns related to high-pressure vessel explosions have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However, current standards lack detailed guidelines for the structural design of protective barri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design data by analyzing the blast resistance and pressure mitigation performance of protective walls. To achieve this, blast loads were estimated using TNT equivalency and UFC 3-340-02, and the structural behavior and pressur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considering foundation type, wall shape (inclined and flat), and barrier heigh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NT equivalent of a high-pressure hydrogen vessel was approximately 51.26 kg, and the blast load estimation method based on UFC 3-340-02 Chapter 2-14 provided the closest reflection pressure values to experimental results. Inclined barriers demonstrated superior performance in reducing reflected pressure compared to flat barriers. Analysis of pressure propagation behind the barrier revealed that a minimum height of 5 m is required to meet safety criteria; however, considering structural stability and constructability, a double-barrier configuration was identified as a more effective design alternative.
- COLLAPSE
수소충전소의 보급 확대와 함께 고압용기 폭발로 인한 안전 문제가 부각되고 있으나, 현행 기준은 방호벽 설계에 대한 구체적 지침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방호벽의 폭발저항 성능과 압력 차단 효과를 분석하여 실무 적용 가능한 설계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TNT 등가량 기반으로 UFC 3-340-02에 따라 폭발하중을 산정하고, 기초 형상, 벽체 형상(경사형·평면형), 방호벽 높이에 따른 구조적 거동과 압력 전파 특성을 실험과 수치해석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고압용기 폭발 시 TNT 등가량은 약 51.26kg으로 산정되었으며, UFC 3-340-02 Chapter 2-14 적용이 실험값과 가장 유사한 반사압력을 제공하였다. 또한, 경사형 방호벽은 평면형 대비 반사압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하였고, 방호벽 후방 압력 전파 분석에서는 최소 5m 이상의 높이가 요구되었다. 그러나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성을 고려할 때 이중 방호벽 설계가 보다 합리적인 대안으로 평가되었다.
-
Fundamental Review Study on Protective Barrier Design for Enhancing Safety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s
-
Research Article
-
Comparison of Effective Stiffness Estimation Methods and Evaluation of Nonlinear Dynamic Response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nder Blast Loads
폭발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유효강성 산정 방법 비교 및 비선형 동적 응답 영향 평가
-
Ga-Eun Choe, Seung-Hoon Lee, Han-Soo Kim
최가은, 이승훈, 김한수
-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effective stiffness based on the average moment of inertia, as presented in blast-resistant design guidelines, may overestimate …
본 연구는 내폭 설계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평균 이차모멘트 기반 유효강성이 내폭 성능을 과대평가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OpenSees를 이용한 푸쉬오버 및 SDOF 해석 …
-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effective stiffness based on the average moment of inertia, as presented in blast-resistant design guidelines, may overestimate blast performance. Pushover and SDOF analysis using OpenSees showed that the average effective stiffness resulted in a 1.68 times higher value in static analysis and up to 26.9 % response error in dynamic analysis. Parametric studies indicated that the error decreased with increasing reinforcement ratio and ductility, however, the average-based method consistently produced unconservative result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based method is likely to underestimate the extent of structural damage in blast analysis.
- COLLAPSE
본 연구는 내폭 설계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평균 이차모멘트 기반 유효강성이 내폭 성능을 과대평가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OpenSees를 이용한 푸쉬오버 및 SDOF 해석 결과, 평균 유효강성은 정적해석에서 1.68배, 동적해석에서 최대 26.9 %의 응답 오차를 발생시켰다. 매개변수 분석 결과 철근비와 연성비 증가 시 오차는 감소했으나, 평균값 방식은 지속적으로 비보수적인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평균값 기반 방식은 폭발해석 시 구조물의 손상 정도를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
Comparison of Effective Stiffness Estimation Methods and Evaluation of Nonlinear Dynamic Response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nder Blast Loads
-
Research Article
-
Numerical Study on Post-Fire Flexural and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화재 후 냉각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및 전단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
Dongjun Han, Donghyuk Jung
한동준, 정동혁
- Recent large-scale fire incident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nsuring the structural safety and post-fire residual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RC) buildings. …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대형 화재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구조 안전성과 화재 후 잔존 성능 확보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휨과 전단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
- Recent large-scale fire incident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nsuring the structural safety and post-fire residual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RC) buildings. In particular, RC beams, where flexure and shear act in combination, undergo nonlinear structural responses due to high-temperature-induced material degradation and microcracking during the cooling phase, necessitating a quantitative assessment. This complexity makes experimental evaluation challenging, especially after the cooling phase, emphasizing the need for reliable numeric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C beams cooled to ambient temperature after fire exposure was analyzed using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TENA. The analytical model was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a heat transfer analysis, with primary variables set as the fire exposure duration and a/d ratio (the shear span to effective depth). By evaluating the load–displacement response, crack patterns, strength reduction under varying conditions, the study investigates the transition in failure modes after fire.
- COLLAPSE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대형 화재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구조 안전성과 화재 후 잔존 성능 확보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휨과 전단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보 부재는 고온에 의한 재료 열화와 냉각 중 발생하는 미세 균열 등으로 인해 구조 응답이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므로 정량적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TENA를 활용하여, 화재 후 상온으로 냉각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 성능을 분석하였다. 해석 모델은 열전달 해석과 연계하여 구성되었으며, 주요 변수로 화재 노출 시간과 a/d(가력점과 지점 사이 거리를 단면 유효깊이로 나눈 값)를 설정하였다. 각 변수 변화에 따른 하중-변위 응답, 균열 양상, 강도 저감을 분석함으로써 화재 후 파괴 양상 전이를 규명하였다.
-
Numerical Study on Post-Fire Flexural and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